들어가며
‘겨울에 에어컨을 검색하는 사람은 적을 것이다’라고 생각하시나요? 실제 데이터를 보면, 다양한 수요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냉방가전처럼 명확한 계절성이 있는 카테고리에서도 비시즌에는 관리, 점검, 복합 기능(냉·난방 겸용) 등 새로운 형태의 니즈가 발생합니다.
이 글은 이런 분들을 위해 작성했습니다.
- ❄️ 겨울철에도 ‘여름’, ‘냉풍’, ‘습기’ 관련 가전에 대한 소비자 수요를 알고싶은 분
- 🧭 비수기 기간에 어떤 커뮤니케이션과 프로모션을 해야 할지 고민 중인 마케터
- 📊 데이터로 실제 오프시즌 소비자 니즈를 확인하고 싶은 브랜드 담당자
이번 리포트에서는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를 활용해, 비수기(예: 여름 이후~초봄)에 냉방가전이 왜 여전히 검색되는지, 그리고 새로운 사용 맥락과 마케팅 기회는 무엇인지를 단계별로 분석했습니다.
분석 구조
- 검색 트렌드 – 최근 12개월간 냉방가전 검색량 변화
- 비수기 클러스터 분석 – 비시즌에도 유지되는 관심 키워드 탐색
- 니즈 정량화 – 실제 검색량 기반 수요 규모 비교
- 마케팅 적용 – 비시즌 마케팅 메시지 설계 가이드
입력 프롬프트: 비시즌 잠재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키워드의 최근 1년간 검색 데이터를 분석해줘.
> 에어컨, 제습기, 냉풍기, 선풍기, 서큘레이터
① 검색 트렌드 분석: 냉방가전은 ‘여름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앞에서 입력한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가장 먼저 최근 1년간 검색량(트렌드)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출처: ListeningMind API / google_trend_by_google_trend_post (South Korea, 2024.11–2025.11 기준)
검색량 인사이트 요약

이처럼 최근 12월 간의 데이터를 보면, 냉방가전은 여름철에 검색량이 급등한 후, 9~10월부터 완만히 하락 하지만, 11월 이후에도 완전히 0으로 떨어지지 않는 패턴을 보입니다. 이는 ‘계절 종료 후 관리 수요’, ‘사계절형 제품 검색’, ‘겨울철 공기순환 목적 사용’ 등 숨은 구매·정보 탐색 니즈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다음으로는 비수기(10월~ 3월)에도 존재하는 숨은 수요를 파악해보겠습니다.
입력 프롬프트: ‘에어컨’, ‘사계절형 인버터’, ‘제습기’ 등과 관련해 전,후에 검색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수기 시즌 소비자 수요를 분석해줘.
② 비수기 클러스터 분석: ‘관리·복합 기능·조용함’ 중심의 검색
앞에서 입력한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비수기 시즌에 검색되는 소비자 니즈 및 수요를 다음과 같이 확인해보았습니다. 대표 시즌 가전인 ‘에어컨’ 을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cluster_finder (ListeningMind API, KR, 10~3월 검색 기준)

💡 주요 인사이트
- 에어컨: 비수기에도 ‘청소·관리·전기효율·냉난방’ 키워드로 꾸준히 검색
- 복합형 제품: “겨울철 난방기”, “사계절형 인버터”, “무풍+무음” 등 조용하고 효율적인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 제습기: “겨울철 습도 조절”, “결로 방지” 등과 함께 검색되어, 습도관리 제품군과의 마케팅 연계 가능
정리해보면, ‘에어컨’ 가전의 경우 여름철 기능 중심에서 벗어나 ‘관리형·유지형·복합형 수요’로 전환되는 것이 비수기 시장의 핵심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에서는 앞서 확인한 비수기 시즌 ‘소비자 니즈’ 를 정량화 및 시각화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입력 프롬프트: 앞서 확인한 비수기 시즌 (10월~ 3월)에 발생한 소비자 니즈를 검색량으로 정량화하고, 이를 막대 그래프로 시각화해서 나타내줘. 그래프 생성 시, 검색엔진 사용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네이버/ 구글 검색량을 분리해서 출력해줘.
③ 비수기 클러스터 내 니즈 정량화
앞에서 입력한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비수기 시즌에 검색된 소비자 니즈를 정량화하여, 다음과 같이 시각화된 그래프로 출력해보았습니다. 각 니즈별 검색엔진에서 발생한 검색량이 시각화되어, 더욱 세분화된 고객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출처: ListeningMind API keyword_info (KR 2024.10월~ 2025.3월 기준)

한눈에 보이듯, ‘에어컨 청소’와 ‘냉난방기’는 NAVER에서 특히 강세이며, ‘에어컨 제습’은 두 플랫폼 모두에서 균형 있는 검색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 주요 인사이트
- 비수기 유지 키워드
→ 에어컨 청소, 냉난방기, 무풍 에어컨 은 10~3월에도 검색량 유지
→ 특히 “냉난방기”는 겨울철 검색량이 여름의 2배 이상 - 숨은 수요(잠재 니즈)
- 겨울철 ‘청소·정비’ 예약형 수요
- ‘사계절형 인버터·무풍’ 검색 증가
- 습도 관리형 제습 기능에 대한 비수기 관심 유지
다음 단계에서는 앞에서 파악한 비시즌 소비자들의 숨은 니즈 및 수요를 바탕으로, 실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적용’ 내용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입력 프롬프트: 앞에서 확인한 ‘비시즌 소비자 데이터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실제 제시할 수 있는 마케팅 메세지를 설계하고, 그 근거도 함께 제시해줘.
④ 마케팅 적용: 비수기에도 소비자를 후킹할 수 있는 메세지 설계
앞에서 확인한 소비자들의 수요 항목에 따라,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설계해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 소비자들이 비시즌에 니즈에 따라 검색한 ‘검색 키워드’를 기반으로 설계된 메시지로, 소비자 관점에서의 공감 기반 메세지 특성을 담고 있습니다.

마치며
시즌/ 비시즌이 뚜렷한 제품 카테고리일수록 마케터들은 많은 고민을 하기 마련입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검색 데이터 기반의 수요 탐색’이 더 중요해지는 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 다룬 바와 같이 비시즌에 존재하는 숨은 소비자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한 검색량 확인을 넘어, 소비자 니즈를 맥락별로 군집화 한 후, 그 흐름을 바탕으로 마케팅 메시지 설계까지 연결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프롬프트 입력을 통해, 소비자의 숨은 수요를 발굴하고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 더 알아보기 →]
🔗 [데모 신청하기 →]
🔖 참고
ListeningMind API:
keyword_info
,
intent_finder, cluster_finder
데이터 출처: 네이버, 구글 검색 데이터 (2024~2025년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