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정’을 해석해 고객 의도 기반의 ‘페르소나’를 발견하는 방법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검색 경로를 분석하고, 그 흐름 속에서 유사한 목적이나 의도를 가진 페르소나를 정의하는 것은 고객 인텐트(intent) 기반 마케팅 전략 수립의 핵심입니다. 특히 리스닝마인드 허블의 검색 데이터 및 분석 기능과 생성형 AI를 결합하면, 아래와 같이 더욱 빠르고 깊이 있는 페르소나 도출이 가능해집니다.

다음은 검색 데이터 기반 페르소나 발굴 목적의 프롬프트 작성 가이드를 5가지 핵심 요소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반적인 핵심 요소를 파악하고, 프롬프트 예시를 참고해 JTBD(Jobs To Be Done) 페르소나를 발견해보시기 바랍니다.

▶ 참고 포스팅) 뉴페르소나: Jobs To Be Done과 페르소나의 결합

🔑 핵심 1. 검색 ‘흐름’을 기반으로 한 인텐트 분석 (Intent Flow)

  • 단일 키워드가 아니라 검색 전후의 흐름, 즉 소비자가 어떤 질문에서 시작해 어떤 행동으로 이어졌는지를 파악합니다.
  • 예시 흐름:

    유아 치약 추천 → 아기 불소 치약 → 어린이 불소 치약 추천
    → 정보 탐색 단계 → 제품 조건 정의 → 구매 고려
출처: 리스닝마인드 허블 패스파인더 ‘유아 치약 추천’
  • 이처럼 검색의 단계별 흐름에 따라, 정보 탐색형 / 조건 설정형 / 비교·결정형 등의 페르소나 유형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예시)

⌨️ 다음 ‘유아 치약 추천’ 검색 키워드 시퀀스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검색 여정을 단계별로 분류하고, 해당 단계별 페르소나 유형을 정의해줘.

아웃풋 예시)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를 활용한 ‘유아 치약’ 관련 소비자 페르소나 분석 결과 화면

🔑 핵심 2. 키워드의 접근 지점 다양성 (Category Entry Point: CEP)

  • 동일한 키워드라도 검색한 문맥과 목적에 따라 의도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 예시: 구강 스프레이
출처: 리스닝마인드 허블 페르소나뷰 ‘구강 스프레이’
  • “입냄새 제거 구강 스프레이” → 고민 해결형
    • 입냄새 제거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는 단계 중, ‘스프레이’ 카테고리를 통해 고민을 해결하고자 하는 소비자 유형
  • “덴티스테 구강 스프레이 후기” → 브랜드 탐색형
    • 구강 스프레이 브랜드 중 특정 브랜드를 중점으로 적합한 브랜드를 찾는 소비자 유형
  • 이처럼 키워드가 어떤 CEP(카테고리 진입 지점)에서 등장했는지를 분석하면, 유사한 의도를 가진 세그먼트로 그룹핑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예시)

⌨️ ‘구강 스프레이’ 키워드의 다양한 검색 문맥을 분석해서, 의도별로 사용자 유형을 나눠줘. (ex. 고민 해결형, 브랜드 탐색형, 브랜드 비교형 등)

아웃풋 예시)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를 활용한 ‘구강 스프레이’ 관련 소비자 페르소나 유형 분석 화면

🔑 핵심 3. 전/후 검색된 키워드를 목적/의도별 수집 (Clustering)

  • 소비자는 목적 달성을 위해 한 가지 키워드만 검색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검색 행위 특성을 반영해, 타겟 키워드의 이전/이후에 검색된 키워드들을 수집해보면 관련된 고민과 니즈가 담긴 전반 검색 맥락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예: 유아 치약 관련 키워드
    → 불소, 먹을 수 있는, 연령별, 유치, 치과 어린이 치약 등
출처: 리스닝마인드 허블 클러스터파인더 ‘유아 치약’
  • 이 연관 키워드들을 클러스터링하면, 특정 페르소나의 세계관과 관심사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예시)

⌨️ ‘톤업 선크림’ 키워드의 전,후에 검색된 검색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그룹(클러스터)별로 잠재 페르소나의 관심사와 니즈를 정리해줘

아웃풋 예시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를 활용한 ‘톤업 선크림’ 관련 소비자 페르소나 분석 결과 화면

🔑 핵심 4. 브랜드 언급 여부 & 탐색 깊이

  • 검색 키워드에 ‘브랜드명’의 포함 여부는 검색자의 인지도와 구매 의사 수준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논브랜드 키워드, 브랜드 키워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페르소나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논브랜드 키워드: 초기 탐색 중심의 페르소나 특성
      • 브랜드나 구체적인 카테고리를 결정하기 전, 소비자의 상황(니즈, 고민 등)이 담긴 키워드 특성이 나타납니다. 이에 따라 구매보다는 목적에 맞는 정보를 탐색하고자 하는 페르소나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브랜드 키워드: 제품 비교 또는 구매 고려 단계의 페르소나의 특성
      • ‘브랜드명 + 후기, 성분 비교’ 등의 키워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언급 브랜드와 관련해 전환 가능성이 높은 세그먼트, 페르소나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예시)

⌨️ 다음 키워드 리스트에서 브랜드가 포함된 키워드와 아닌 키워드를 구분하고, 각각의 소비자 인지 단계를 분류해줘. 브랜드 포함 검색어일수록 구매 의사가 높다는 가정 하에 페르소나 특성을 요약, 정리해줘. (입냄새 제거 스프레이, 덴티스테 후기, 구강청결제 추천, 덴티스테 성분…)

아웃풋 예시)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를 활용한 ‘구강 케어’ 카테고리 관련 소비자 페르소나 분석 결과 화면


🔑 핵심 5. 반복 검색 및 유사 사용자 행동 패턴

  • 특정 키워드를 반복해서 검색하거나, 유사한 검색 경로를 거치는 사용자들은 명확한 목적을 지닌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알고 싶은 바가 비교적 명확하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반복 검색하는 행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 예: 눈 마사지기 → 브랜드명(오아, 휴그랩, 제스파..) → 후기/디시/가격 → ‘부작용/안압/효과 등을 반복적으로 검색한 유저는
    구매 직전의 실질적 수요자 페르소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예시)

⌨️ ‘눈 마사지기’ 전반 검색 경로에서 소비자들이 반복적으로 검색한 키워드 흐름을 기반으로, ‘눈 마사지기’ 구매 직전 단계의 고관여 페르소나를 정의해줘. 또한 이들의 주요 관심사와 전환 가능성, 성별 및 연령 특성도 함께 분석해줘.

아웃풋 예시)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를 활용한 ‘눈마사지기’ 관련 소비자 페르소나 분석 결과 화면

지금, 실전 페르소나 분석을 직접 경험해보세요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페르소나 분석은 이제 단순한 사용자 분류를 넘어서, 고객의 ‘의도’와 ‘문맥’을 중심으로 한 마케팅 전략 설계의 핵심 도구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리스닝마인드의 검색 여정 데이터와 생성형 AI를 결합하면, 정량적 흐름 + 정성적 해석이라는 강력한 조합을 통해 기존 방식보다 더 빠르고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검색은 소비자가 가장 솔직한 고민과 니즈를 드러내는 행동입니다. 그렇기에 검색 흐름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 안에서 공통된 목적과 반복된 행동 패턴을 찾아낸다면, 페르소나 정의는 단순한 ‘상상’이 아닌, 실질적이고 행동 기반의 ‘설계’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

이제 중요한 것은, 이러한 분석을 실제 마케팅, 브랜딩, 상품 기획의 전략 설계에 어떻게 녹여낼 것인가입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5가지 핵심 구조를 기반으로, 여러분의 브랜드/제품에 맞는 사용자 여정을 정의하고, 고객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도구로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 사용해보기 →]
🔗 [데모 신청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