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 간 경쟁 구도와 소비자들의 연상 비교를 통해 해당 시장에서의 각 브랜드 포지셔닝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정 시장/카테고리의 브랜드 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색조 브랜드’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고자 합니다.

타겟 시장(색조) 및 카테고리를 정한 후, 분석할 브랜드를 선정하기 위해 검색량 상위 브랜드를 확인했습니다. 리스닝마인드 인텐트파인더에서 ‘틴트’ 연관 키워드를 수집한 후, 검색량 상위로 나타나는 브랜드 중 임의로 4개를 선정했습니다. (롬앤, 컬러그램, 베네피트, 페리페라)

타겟 시장 및 카테고리, 분석할 브랜드를 정했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 및 프롬프트를 참고해 브랜드 간 경쟁지도 및 브랜드 연상 분석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분석 개요

목표: 검색 데이터를 활용해 색조 시장 내 주요 브랜드의 경쟁 구도와 소비자 인식 구조를 파악
도구: 리스닝마인드 API + ChatGPT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 알아보기>)
데이터 기반: 네이버·구글 검색 데이터

① 브랜드 경쟁 지도 분석 (검색 기반 시장 구조)

프롬프트 예시

카테고리: 뷰티/화장품  
브랜드: 롬앤, 컬러그램, 베네피트, 페리페라  
국가: 한국  
분석 목표: 브랜드 간 검색량, 점유율, 경쟁 강도 기반 경쟁 지도 생성

리스닝마인드 API( keyword_info )를 활용해 브랜드별 검색량, CPC, 트렌드, 경쟁도를 수집한 뒤 검색량·점유율·전년 대비 성장률을 기준으로 경쟁 구조를 시각화합니다.

📊 인사이트 요약

  • 시장 점유율: 롬앤이 월평균 7.9만 건으로 압도적 1위. 네이버 비중 85% 이상으로, 핵심 이용층은 Z세대~MZ 여성.
  • 성장세: 컬러그램은 최근 3개월 +21%로 급성장. SNS 확산 중심의 저가형 틴트 제품이 성장 견인.
  • 대체 포지션: 페리페라는 ‘롬앤의 대체 브랜드’로 10대 후반~20대 초반층 유입 강세.
  • 역성장: 베네피트는 검색량 유지에도 불구하고 관심도 -31% 하락, 로컬 브랜드에 밀림.

② 브랜드 연상 비교 분석 (소비자 인식 구조)

브랜드 키워드의 전·후 연관 검색어를 분석해 소비자 인식 구조를 도출합니다. 이를 통해 브랜드별로 어떤 감성, 속성, 사용 맥락으로 인식되는지를 비교합니다.

프롬프트 예시

위에서 분석한 브랜드 키워드들의 전/후에 검색된 내용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연상/인식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해줘.

브랜드 연상 비교 및 인식 구조 통합 분석 내용

📊 요약 인사이트

  1. 시장은 두 축으로 양분
    • Z세대 중심의 트렌디 브랜드군: 롬앤·페리페라·컬러그램
    • 전문성·프리미엄 축: 베네피트
  2. 인식 포인트
    • 롬앤 → SNS 확산·감성 중심 브랜드
    • 페리페라 → 감성 캐릭터형·저가형 포지션
    • 컬러그램 → 색감 다양성·가성비 중심
    • 베네피트 → 전문성·오프라인 경험(브로우바) 중심 유지

③ 시각화 (브랜드 포지셔닝 및 인식 강도)

앞선 분석 결과(브랜드 경쟁 지도 분석, 브랜드 연상 비교 분석)를 시각적 인사이트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예시

앞에서 분석한 브랜드 경쟁 지도, 브랜드 연상 비교 분석 내용을 시각화해서 표현해줘.

브랜드 인식 구조 비교 (레이더 차트), 브랜드별 인식 강도 (히트맵)

(왼쪽) 레이더 차트: 브랜드별 인식 구조 비교(감성, 실용성, SNS 화제성, 전문성 등 6개 축 기준)
(오른쪽) 히트맵: 각 축별 브랜드 인식 강도 수치화

이처럼 시각화를 통해 브랜드별로 어떤 영역에서 강세를 보이고, 어떤 포인트가 차별화 요소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④ 브랜드별 시사점 요약

브랜드핵심 강점인사이트
롬앤SNS 화제성, 감성 우위트렌디 감성형 리더
페리페라감성·가격 접근성Z세대 저가 감성형
컬러그램실용성, 가성비SNS 기반 실속 브랜드
베네피트전문성, 충성도고급층 중심의 안정적 포지션

마치며

이처럼 간단한 프롬프트 입력만으로도, 특정 시장의 카테고리에서 주요 플레이어 브랜드의 포지셔닝 및 소비자 연상 인사이트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 소비자들이 검색한 키워드, 검색량, 검색 경로 등을 기반으로 분석한 내용인데요. 보통 조사 타겟으로 접근하는 표본 집단에서의 분석이 아닌,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잠재 소비자를 모두 아우른 전수 데이터 측면에서 폭넓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제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를 활용해 프롬프트 몇 번 만으로 특정 시장을 파악하고, 브랜드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작업까지 빠르게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 [리스닝마인드 on ChatGPT 더 알아보기 →]
🔗 [데모 신청하기 →]

🔖 참고

ListeningMind API: keyword_info , intent_finder , association_map
데이터 출처: 네이버, 구글 검색 데이터 (2025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