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to-earn-your-money

자본주의 사회에서 우리는 ‘돈’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른 출근길에 버스와 지하철로 쏟아지는 사람들을 보면서 ‘다들 어떻게 먹고사는 걸까’ 하는 생각도 가끔 들기도 합니다.

SNS에도 흔적을 남기기 쉽지 않은 ‘돈’에 대한 우리의 속마음과 욕망을 어떤 데이터로 살펴볼 수 있을까요? 리스닝마인드를 통해 전 국민이 구글과 네이버로 찾고 있는 검색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지난 3년 간 ‘돈 버는 법’에 대한 검색 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어떤 민낯이 드러날까요?  

 ‘돈 버는 법’ 3년 사이 가파른 상승 후 하락

리스닝마인드 검색 데이터로 살펴본 ‘돈 버는 법’ : 돈에 대한 우리 사회의 민낯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통해 살펴 본 ‘돈 버는 법’ 키워드 검색량 추이

키워드 ‘돈 버는 법’에 대한 연간 총 검색량은 351만 정도 됩니다. 지난 3년(2022년 2월~2025년 1월) 동안 꾸준히 관심을 보이는 주제입니다. 단, (2024년 4월~2024년 8월) 급격히 상승했다 하락했던 흐름이 확인됩니다.

더 구체적으로 검색한 검색어들 (방법을 포함한)을 1위부터 30위까지 나열해 봤습니다. 

‘블로그로 돈 버는 법’이 압도적 1위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통해 살펴 본 ‘돈 버는 법’ 연간 총 검색량 1위~30위

사실, 이보다 더 많은 ‘돈 버는 법’에 관한 키워드가 있었지만, ‘게임 머니 모으는 법’에 관한 검색어는 모두 제외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연간 총 검색량을 1위부터 30위까지 나열해보니, ‘블로그로 돈을 벌고 싶은 남녀노소’, ‘공부하면서 돈을 벌고 싶은 학생’ , ‘틱톡이나 인스타로 돈을 벌고 싶은 2030’ 그리고 ‘군대에서 돈 버는 법’을 검색하는 돈이 모자란 군인들까지 다양했습니다. (?‍♀️ 더 자세한 성별 및 연령별 검색 데이터 결과는 리스닝 마인드 허블을 이용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편법으로 돈 버는 법’이 10위, 누구의 어떤 욕망일까?

이 중에서 제 눈에 띈 것은 위의 표에 연보라색으로 하이라이트 한 검색어인데요. 편법으로, 편하게, 일 안하고, 자면서 ‘돈 버는 법’ 과연 무슨 뜻일까요? 리스닝 마인드 허블의 패스파인더를 통해 전후 검색 경로를 살펴봤습니다.

‘리스닝 마인드 허블 – 패스파인더 기능’을 통해 살펴 본 ‘편하게 돈 버는 법’ 검색어 경로

우선 ‘편하게 돈 버는 법’의 패스를 봤더니 ‘검은돈’, ‘불법’, ‘편법’ 이란 단어들이 서슴없이 나옵니다. ‘일베’나 ‘디시’ 같은 커뮤니티 이름 또한 연달아 나오는군요.

‘리스닝 마인드 허블 – 패스파인더 기능’을 통해 살펴 본 ‘일 안하고 돈 버는 법’ 검색어 경로

‘일 안하고 돈 버는 법’도 한 번 들여다 보겠습니다. ‘편법’ ‘불법’ ‘단기간’ ‘현실적’ 검은돈’ 과 같은 키워드들로 검색 유저의 욕망이 구체화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소 놀라운 부분은 이런 위험한 검색어들 사이에서 ‘청소년’ ‘중3’과 같은 연령 검색어가 섞여있다는 점입니다.

이처럼 ‘리스닝 마인드 허블’은 검색 고객의 욕망을 낱낱이 드러냅니다. 더 나아가 해당 검색을 한 검색 유저의 연령과 성별도 알려주는데요. ‘편법으로 돈 버는 법’ 과 ‘일 안하고 돈 버는 법’에 대한 1년 검색 추이와 성별 비율, 그리고 주요 검색 연령을 살펴보겠습니다.

10대 여성의 돈에 대한 민낯 – 일 안하고, 편법으로 돈 벌 수 있나요?

‘리스닝 마인드 허블 – 인텐트파인더 기능’을 통해 살펴 본 ‘일 안하고/ 편법으로 돈 버는 법’

다소 우려되는 결과입니다. 연간 총 검색량이 아주 크지는 않지만, 꾸준히 검색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검색 유저는 남성이 37% 여성이 63%의 비율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주요 검색 연령은 10대 > 20대 > 30대 순이네요. 어센트코리아는 이 외에도 클러스터 파인더를 통해 해당 검색어 클러스터를 더 역동적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리스닝 마인드 허블 – 클러스터 GPT리뷰’ 기능을 통해 살펴 본 ‘불법 돈 버는 법’ 분석 결과

얼마 전 출시한 GPT리뷰 기능을 통해 ‘편하게 돈 버는 법’에 관한 A~N까지의 클러스터 중 D클러스터인 ‘불법 돈버는 법’을 종합 분석 해봤습니다. 버튼만 클릭하면 자동으로 페르소나 및 주요 토픽들을 분석해주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을 통해 해당 검색어의 페르소나를 대략적으로 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추가적으로 궁금해 할 만한 지점(토픽)을 나열해줍니다. 분석 결과는 ‘소비자들이 불법적인 방법으로 돈을 벌고자 하는 관심이 있으며, 미성년자들이 돈을 버는 다양한 정보를 찾고 있다’로 나오네요. 요즘은 어릴 적부터 ‘돈 버는 법’에 관심이 많다는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21세기 AI 시대 진정한 노동의 가치

리스닝 마인드 허블 – 패스파인더’ 기능을 통해 살펴 본 ‘자면서 돈버는 법’ 경로

어느 유명 저자의 ‘4시간만 일한다’부터 시작해 ‘부의 추월 차선’등 빠르고 효율적으로 돈 버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은 21세기 입니다. 이런 베스트셀러와 비슷한 결을 가진 또 하나 눈에 띄는 키워드가 ‘자면서 돈 버는 법’인데요. ‘젊은 나이에 돈 많이 버는 직업’, ‘공부 못해도 돈 많이 버는 직업’, ‘은근 돈 많이 버는 직업’ 등 자면서도 돈이 들어오길 바라면서 밤잠을 설치는 검색 소비자의 다양한 욕망이 드러납니다.

21세기의 노동의 가치란 어떤 것일까요? 하루 4시간만 일하면 나머지 20시간은 어떤 삶을 설계해야 하는 걸까요? ‘일하는 기쁨’ 그리고 ‘나는 왜 일하는가’에 대한 주제에 대해서 사람들은 무엇을 어떻게 검색하고 있는지? 더욱 궁금해집니다.

더 많은 검색 데이터가 궁금하다면?

검색 데이터를 통해 직접 궁금한 키워드를 확인하고 싶다면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통해 직접 찾아보세요. 7일 트라이얼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