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확장 속에서 변화하는 소비자 인식
다이소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단순히 생필품 유통채널에만 머물지 않습니다. 다이소는 제품군을 넓히며 그 시세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고, 특히 잘파세대에게는 ‘뷰티 플랫폼’으로 인지될 만큼 뷰티 제품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과연 소비자는 실제로 다이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지, 검색 데이터로 자세히 들여다봤습니다.
검색량은 월 1,800만 건 이상, 3년간 꾸준히 증가

검색 데이터(네이버/구글 합산)를 보면, ‘다이소’(연관 키워드 포함)는 월 평균 18,051,147회 검색되며,
검색량은 3년간 꾸준히 증가 중입니다.
오프라인 중심 브랜드로 알려져 있지만, 검색 토픽 상에서는 ‘다이소몰’ 등 온라인 관련 니즈가 매우 크고,
‘화장품’ 또한 상위 토픽에 포함될 정도로 다이소 뷰티 제품에 대한 관심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연령대별 관심사 차이도 매우 분명하게 드러났습니다.
연령대별 관심 키워드 TOP10 분석

연령대 별 많이 검색한 토픽 TOP10입니다. 두개 이상의 연령대에서 TOP10에 포함된 토픽은 검은색, 그렇지 않은 토픽은 하늘색으로 표시했는데요. 대부분이 하늘색으로 나타나 연령대별로 관심사가 확연히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 10대
- 폴라폴라(스티커 제작 기계), 카드, 화장품(파우더/애교살/라이너), 다이소깡 등
🔹 20대
- 뷰티 관련 토픽 비중이 가장 높으며, ‘딘토’는 전 연령 중 유일하게 언급된 뷰티 브랜드
🔹 30대
- 정리용품, 청소, 일회용품 등 생활 중심 키워드
- 장난감, 립 등 혼합된 관심사 (삶의 양식이 다변화되는 연령대 특성 반영)
🔹 40대
- 접이식 테이블, 캠핑, 자전거 등 취미 중심 토픽/화장품
🔹 50대
- 실리콘, 방충망, 페인트 등 집 수리/보수 관련 키워드 다수
40대 남성이 찾는 다이소 화장품?

40대 특성 토픽인 ‘화장품’은 월 평균 9,955건 검색되는데 그중 4,226건은 ‘남자/남성’ 키워드와 함께 검색되어
남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이소 남자 화장품’ 검색 경로에서 남성이 많이 검색한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다이소 올인원 로션
- 다이소 남자 로션 추천
- 다이소 남자 스킨
브랜드 측면에서는 대부분 ‘멘넨’ 관련 키워드가 등장하며, 해당 브랜드가 다이소에서 남성 화장품을 찾는 소비자에게 이미 잘 인지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10대 중심의 ‘다이소깡’ 검색 흐름

10대 특성 키워드인 **‘다이소깡’**의 검색 흐름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의 인텐트로 나뉩니다.
- 틱톡·유튜브 등 숏폼 플랫폼에서 소비되는 ‘다이소 구매템 소개 영상’ 관련 흐름
- ‘포카(아이돌 포토카드)’를 담는 통·상자 관련 검색
특히 주목할 점은, 이러한 검색이 ‘다이소 온라인 쇼핑몰’, ‘다이소 매장 픽업’ 등의 상업형 키워드로 이어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즉,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서 실제 구매 행동으로 연결되는 인텐트가 포착됐습니다.
‘다이소 화장품’ 검색 전후 흐름으로 본 소비자 인텐트

‘다이소 화장품’ 키워드의 전후 2단계 검색어를 의도끼리 묶어 소비자 인텐트를 살펴봤습니다. 다음과 같은 키워드들이 함께 등장하며, 가성비 좋은 기초·메이크업 제품을 탐색하는 목적이 나타났습니다:
- 저자극 화장품
- 저렴한 메이크업 제품
- 차앤박 브랜드 관련 제품
특히 ‘다이소 화장솜 및 토너패드 추천’ 클러스터에서는 소비자가 올리브영 PB 브랜드 ‘필리밀리’의 화장솜과 다이소 제품을 직접 비교하는 흐름이 관찰되었습니다. 검색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께
- 흡수력
- 가성비
소비자들이 가격과 함께 품질까지 적극적으로 비교·검토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습니다.
우리 산업군의 데이터 분석, 직접 해보고 싶다면?
리스닝마인드 허블을 활용하면 데이터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우리 산업군브랜드와 관련된 소비자 인텐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하면 7일간 무료 트라이얼을 사용해볼 수 있으니, 지금 바로 궁금했던 데이터를 찾아 보세요!
*썸네일 이미지 출처 – 다이소 고양 스타필드점 네이버 지도(업체 제공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