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리테일 인사이트’ 시리즈는 올리브영 올영픽(OY PICK) 프로모션을 중심으로, 실제 매장 현장과 온라인 검색 데이터를 결합한 입체적 분석을 제공합니다. 25년 11월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연계 ‘먹고 바르자’ 컨셉의 핵심 인사이트를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들어가며

2025년 11월 올리브영 주요 프로모션은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을 결합한 매대 구성으로, 최근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의 경계가 점차 허물어지는 트렌드 영향이 반영되었습니다.

최근 뷰티·건강 시장에서는 단순히 외적인 피부 관리에 머무르지 않고, 이너 뷰티와 아우터 뷰티 케어를 동시에 아우르는 ‘식품 x 뷰티’ 융합형 솔루션이 빠르게 주목받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리스닝마인드 검색 데이터를 통해 이달 주요 행사 브랜드 중 구달, 바이오던스의 경향을 파악해 보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미래기획소 최연수 대표

1. ‘구달’ 검색 상위 키워드 분석 결과  

구달 브랜드의 최근 1년 연간 총 검색량 기준, 최상위 검색어를 분류하면 총 3 가지 분류의 검색 경향을 알 수 있습니다.

  1. 선크림 연계 키워드: 구달 선크림, 구달 어성초 선크림, 구달 톤업 선크림
  2. 브랜드명 키워드 : 구달
  3. 청귤 세럼 연계 키워드 : 구달 청귤 비타C, 구달 청귤 비타C 세럼, 구달 청귤 세럼
출처: 리스닝마인드 인텐트파인더 ‘구달’ 입력 결과 (제외 단어: 제인 구달)

구달은 ‘청귤 비타C 세럼’을 중심으로 한 브라이트닝 카테고리와, ‘선크림’ 중심의 자외선 차단 카테고리 두 축으로 트래픽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청귤 비타C’와 ‘세럼’의 결합 검색 비율이 높아 브랜드 인지도와 대표 제품군이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여성초’, ‘무기자차’, ‘톤업’ 등의 세분 키워드는 기능성 확장과 세그먼트 마케팅 전략이 병행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 ‘구달 세럼’ 분석 및 시사점

출처: 리스닝마인드 패스파인더 ‘구달 청귤 비타 c’

구달 청귤 비타C 세럼은 상업형(blue)거래형(green) 키워드의 초기 유입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해당 키워드들이 구매 전환을 유도하는 인지도 높은 검색어임을 의미합니다.
또한 동일 키워드로 비교·검색된 타 브랜드는 이니스프리, 디오디너리, 더마팩토리 등 소수 브랜드로 분석되어, 제품의 충성 고객이 높다는 점과 해당 제품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잡티’ 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바이오던스’ 검색 상위 키워드 분석 결과

바이오던스는 25년 2분기부터 검색량 급상승하였으며, 바이오던스 브랜드의 최근 1년 연간 총 검색량 기준, 최상위 검색어를 분류하면 총 3 가지 분류의 검색 경향을 알 수 있습니다.

1) 브랜드명 키워드 : 바이오던스
2) 마스크팩 연계 키워드 : 바이오던스 콜라겐 팩, 바이오던스 마스크팩, 바이오던스 콜라겐 마스크팩, 바이오던스 팩
3) 마스크팩 외 카테고리 상위 키워드 : 바이오던스 패드, 바이오던스 크림, 바이오던스 앰플

출처: 리스닝마인드 인텐트파인더 ‘바이오던스’ 입력 결과

‘바이오던스’는 콜라겐 팩을 중심으로 인지도가 형성된 브랜드로, 팩·마스크팩 카테고리가 검색 대부분을 차지, 특히 ‘콜라겐’ 키워드의 반복적 결합은 브랜드가 피부 탄력 개선 중심의 기능성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최근에는 ‘패드’, ‘크림’, ‘앰플’ 등 기초 스킨케어군의 검색이 증가하며, 마스크/팩 카테고리 브랜드 이미지에서 토탈 스킨케어 브랜드로의 확대 목표를 엿볼 수 있습니다.

4. ‘바이오던스 콜라겐 팩’ 분석 및 시사점

출처: 리스닝마인드 패스파인더 ‘바이오던스 콜라겐 팩’

‘바이오던스 콜라겐 팩’은 ‘콜라겐 팩 추천’과 ‘콜라겐 팩 효과’ 키워드의 중심 허브 역할을 하는 핵심 검색어로, 소비자들이 콜라겐 기능성 팩을 탐색할 때 가장 높은 연관도를 보입니다.
특히 ‘탄력’, ‘효과’, ‘추천’과 같은 효능 중심 검색어군에서 바이오던스가 중심적으로 노출되며,
기능성 팩 카테고리 내 대표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통 측면에서는 ‘바이오던스 면세점’과 ‘바이오던스 공구’ 키워드의 검색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브랜드가 동시에 글로벌 유통(면세점) 확장성과 커뮤니티 기반 판매(공구) 채널 신뢰도를 모두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구조는 바이오던스가 단순한 팩 브랜드를 넘어, 기능 중심 추천 + 유통 확장성’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기능성 스킨케어 브랜드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마치며

소비자는 이제 외적인 화장품뿐 아니라 내적인 건강과 아름다움까지 함께 추구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섭취와 화장품 사용이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신체의 균형과 피부 컨디션이 함께 개선되며, 이러한 ‘이너뷰티와 아우터뷰티의 조화’는 앞으로 더욱 중요하게 부각될 전망입니다.

국내에서도 이미 건강기능식품과 뷰티·퍼스널케어 제품을 하나의 웰니스 시장으로 통합해 분석하고 있으며, 이는 뷰티와 헬스의 경계가 사라지는 새로운 통합 트렌드를 반영함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검색 데이터는 리스닝마인드 플랫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