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미국 시장 분석을 위해 리스닝마인드 저니파인더(Journey Finder) 기능을 활용해 미국 뷰티 플랫폼 시장의 검색 흐름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를 위한 입력 키워드는 [Cosmetics, L’Oréal, Estée Lauder, Revlon, Coty, Benefit Cosmetics, Too Faced, Glossier, Urban Decay, Milani Cosmetics] 등 주요 브랜드 및 카테고리 키워드를 입력해 미국 소비자의 실제 검색 여정을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 어떤 뷰티 플랫폼이 가장 많이 검색되는지(시장 점유 흐름)
- 어떤 카테고리가 탐색 중심으로 소비자를 끌어들이는지
- 구매 직전 고객이 어떤 정보를 확인하는지
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1. 미국 소비자가 가장 많이 검색하는 뷰티 플랫폼
Sephora, 2024~2025년 Ulta를 추월하며 1위 플랫폼으로 굳힘
저니파인더로 Beauty/Cosmetics – Minimalist & Affordable Beauty Cosmetics Market을 분석한 결과, 2021년 이후 Sephora의 검색량이 상위를 차지했으며, 검색 추이로는 꾸준히 상승하며 2024~2025년부턴 **울타(Ulta)**를 확실히 추월한 흐름을 나타냅니다.

- Sephora: 월 600만 건 이상 검색 유지
- Ulta: 월 400만 건대에서 정체 → 플랫폼 간 격차가 고착화되는 흐름
이 변화는 미국 시장에서 브랜드 중심 검색의 무게가 세포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 검색 여정(CDJ)에서 가장 검색량이 집중되는 단계

저니파인더로 분석한 결과, 미국 뷰티 플랫폼 검색의 핵심은 “2. Browsing(정보 탐색 단계)”에 75% 이상이 몰리는 구조였습니다.
- 해당 단계 평균 검색량: 약 1,653만 건
- 브랜드 비교·신제품 탐색·가격 확인 등이 이루어지는 핵심 구간
그 다음으로는 “4. Confirmation(구매 확정 단계)”, 즉
- 매장 위치
- 할인 코드
- 프로모션
- 구체적 구매 의도
가 결합된 실제 구매 전환 단계가 뒤따릅니다.
🔍 전략 포인트
- 탐색 단계(Browsing): 브랜드 비교형 콘텐츠·제품 리뷰·영상 기반 콘텐츠 강화
- 구매 확정 단계(Confirmation): “near me”, “promo code” 대응을 위한 Local SEO & GEO 전략 필요
3. 브랜드별 검색 지형: Sephora·Ulta가 전체의 70% 이상 장악


브랜드별 평균 검색량은
- Sephora: 556만 건
- Ulta: 484만 건
두 브랜드가 전체 검색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사실상 미국 뷰티 플랫폼 시장의 핵심 진입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두 브랜드 모두
- “near me(매장 위치)”,
- “promo code(프로모션·할인)”
와 결합된 검색량이 계속 증가하며 오프라인 전환 중심의 검색 행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 전략 포인트
- Sephora/Ulta: 브랜드 + 근처/할인 코드 쿼리 대응 콘텐츠 → 구매 전환률 상승
- Glossier·ColourPop 등 성장 브랜드:
- “브랜드 + 리뷰”
- “브랜드 + 신제품”
중심의 탐색형 검색 대응 필요
4. 트렌드 중심 신규 성장 키워드: ‘신제품 조합형’ 쿼리 급증

2024~2025년 검색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키워드는 모두 브랜드+제품명 조합형 탐색 쿼리였습니다.
예:
- loreal glycolic gloss
- elf cosmetics matt rife
- kylie cosmetics skin tint
이 검색 패턴은 신제품 검색이 신규 유입의 핵심 루트임을 보여줍니다.
🔍 전략 포인트
- 신제품 런칭 시 제품명 기반 AEO(Answer Engine Optimization) 미리 대응
- 유튜브·쇼츠·틱톡 등 멀티채널 확산 전략 필수
5. 토픽별 우선순위: Brand/Product & ‘near me’가 가장 높은 비중

고객 여정 전반에서 확인된 주요 토픽 중, 가장 높은 평균 검색량을 기록한 토픽은
- Brand/Product 관련 쿼리
- near me(매장 접근성) 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미국 시장의 뷰티 검색은
- 브랜드 탐색 →구매 접근성 확인 →실제 매장 방문 및 온라인 구매
라는 구조 및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전략 포인트
- 브랜드 탐색형 콘텐츠: AI 기반 비교형 콘텐츠(“Which is better?”) 강화
- near me형 쿼리: 지역 기반 GEO 콘텐츠 최적화 필요
요약 — 미국 뷰티 시장 검색 구조의 3가지 핵심 축
🧭 저니파인더 기반 미국 시장 분석 결과, 검색 구조는 아래 세 가지 축으로 정리됩니다.
- 브랜드 탐색 중심의 Browsing 단계 압도적 우세
- 오프라인 확정·‘near me’ 중심의 구매 전환 행동 강화
- 신제품 중심의 ‘브랜드+제품명’ 조합 키워드 급성장
미국 뷰티 플랫폼 시장에서 SEO·GEO·AEO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마치며
이번 미국 시장 분석에서는 리스닝마인드 저니파인더를 활용해 미국 소비자들이
- 어떤 플랫폼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지,
- 어떤 토픽을 중심으로 검색 여정을 이동하는지,
- 어떤 브랜드와 신제품이 검색 성장을 이끌고 있는지
를 데이터 기반으로 확인했습니다.
검색 여정 분석은 마케팅 전략의 가장 기본이 되는 인사이트입니다.
우리 브랜드/서비스의 고객 검색 여정이 궁금하다면, 리스닝마인드 저니파인더로 직접 확인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