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작년부터 뷰티 업계에서 기능성 성분인 PDRN(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PDRN의 글로벌 트렌드 흐름을 살펴보고, 일본 시장에서의 브랜드별 인지도 현황과 소비자 행동을 분석했습니다.
검색 데이터로 본 PDRN의 성장 흐름
PDRN은 국가별로 확산 시기와 속도가 상이하며, 소비자 접근 방식도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한국 PDRN 시장
2024년 상반기부터 PDRN 검색량이 급증하며, 시술 성분에서 데일리 스킨케어 핵심 성분으로 빠르게 자리잡았습니다.단기 트렌드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현재는 ‘스킨케어의 대표 성분’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일본 PDRN 시장
일본에서는 2024년 가을부터 검색량이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특히 9월과 11월 Qoo10 메가세일 시점과 검색 급등이 정확히 맞물리는 점이 특징입니다.
메디큐브는 11월 ‘PDRN 핑크 앰플’ 프로모션을 진행했고, 일본 로컬 브랜드 코스메돈도 PDRN 세럼을 출시하며 PDRN 성분에 대한 관심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미국 PDRN 시장
미국은 한국, 일본에 비해 검색량 증가 시점이 다소 늦었지만, 2025년 들어 본격적인 성장 국면에 진입했습니다.메디큐브, 리쥬오르 등 한국 브랜드뿐 아니라, ‘리쥬란 시술’ 등 의료 미용 관련 키워드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미국에서는 스킨케어뿐 아니라 의료 성분으로서의 검토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브랜드별 검색 추이: 일본 내 TOM 현황

일본 시장에서의 브랜드별 검색량 추이를 보면, 메디큐브가 시장 초기에 인지도를 선도했으나 2025년 8월을 기점으로 아누아가 검색량에서 메디큐브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5년 9월 기준
아누아 PDRN: 12,100
메디큐브 PDRN: 8,100
→ 약 1.5배 차이
일본 소비자 검색 여정 분석: ‘PDRN이란’ 키워드 기반

패스파인더 분석 결과, 일본 소비자의 검색 여정은 다음 두 가지 흐름으로 구분됩니다.
- 성분 → 제품 탐색 흐름:
PDRN 성분을 인지한 후 “pdrn 세럼 추천””pdrn 효과””pdrn 화장품” 등 키워드로 제품을 비교하거나 구매를 고려 - 브랜드 → 성분 탐색 흐름:
”아누아 PDRN””VT PDRN” 등 브랜드명을 먼저 인지한 후 “PDRN이란””효과 없음” 등의 키워드를 통해 성분의 의미와 효과를 검토
이러한 양방향 흐름은, PDRN이라는 성분명 자체는 널리 인지되었지만, 소비자들이 아직 그 효능이나 작용 원리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브랜드는 ‘왜 효과적인가’, ‘어떻게 안전한가’를 명확히 전달하는 신뢰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한, “식물성/동물성 차이””일본제 PDRN” 등 원료와 원산지에 대한 관심이 뚜렷하며, “병용불가””효과 없음”과 같은 키워드에서는 부작용 우려가 엿보입니다.
일본 마케팅에서는 단순히 효과를 강조하기보다는, 원료별 특징, 효과적인 사용 방법, 성분의 과학적 근거 등을 담은 정보 중심 콘텐츠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치며
PDRN에 대한 소비자 인식, 브랜드 인지도 변화, 마케팅 효과는 검색 데이터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측정할 수 있습니다.
같은 제품, 같은 성분이라도 시장 상황과 소비자 인식에 맞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일본 시장 진출을 고려 중이시라면, 검색 기반 소비자 분석을 통해 더 정교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보세요.
더 많은 일본 시장 인사이트가 필요하시다면,데모를 신청하시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통해 직접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썸네일 이미지 출처 – 언스플래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