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언스플래쉬

검색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소비자 인사이트

새로운 소비자 트렌드를 읽을 때, 가장 솔직한 단서는 어디에 있을까요? 바로 검색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무의식 중에 입력하는 검색어는 단순한 ‘키워드’ 개념으로 보기보다는 ‘의도’와 ‘니즈’, ‘고민’이 담긴 측면으로 바라봐야 합니다.

  • 지금 이 순간의 욕구: “빠른 숙취 해소제 추천”
  • 해결하고 싶은 고민: “사회초년생 재테크 방법”
  • 구매 직전의 비교 과정: “프로바이오틱스 오메가3 같이 먹어도 되나요”

이처럼 검색 데이터에는 소비자가 실제로 직면한 ‘맥락과 의도(Intent)’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검색 데이터가 트렌드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 실시간성: 소비자 관심은 하루, 심지어 몇 시간 단위로도 변합니다. 검색 데이터는 그 변화가 즉각 반영되기 때문에 최신 흐름을 빠르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 보편성: 설문이나 인터뷰가 표본에 의존한다면, 검색 데이터는 특정 집단을 넘어 대중 전체의 행동 결과, 패턴을 보여줍니다.

결국 검색 데이터는 단순 참고 자료가 아니라, 소비자 여정(Customer Journey)을 형성하고 미래 트렌드를 예측하는 조기 신호(Early Signal) 소스가 될 수 있습니다. 브랜드 입장에서는 이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의 인지 현황, 관심 정도, 시장 맥락을 전반적으로 읽어낼 수 있습니다.

검색 데이터로 분석한 2025 트렌드 리포트 추천 3가지

일본 검색 데이터로 보는 K푸드 트렌드

출처: 리스닝마인드 인텐트 데이터 리포트

K푸드는 ‘일본 소비자’ 들에게 어느정도 관심 규모를 가지고, 어떤 메뉴들이 관심을 받고 있을까요? 일본 검색 데이터를 들여다보면, 일본 소비자들에게 한국 음식은 ‘맛’과 ‘건강’을 동시에 고려하는 선택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빔밥’은 건강식으로, ‘떡볶이’, ‘분모자’는 SNS에서 화제성 있는 간식으로 소비됩니다.
즉, 일본 시장에서 K푸드는 ‘순두부 찌개’, ‘김치’ 같은 전통 한식 뿐 아니라 ‘그릭 요거트’, ‘불닭 볶음면’ 등 한국식 푸드로 재해석된 트렌드가 공존하며 일본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한층 더 가까워진 식문화로 진화 중입니다.

👉 K푸드 트렌드 리포트 보러가기

2025 건강기능식품 트렌드: 라이프스타일 & 성분 조합

출처: 리스닝마인드 인텐트 데이터 리포트

 약국 뿐 아니라 편의점, 다이소 등의 다양한 유통채널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건강기능식품은 소비자들의 삶과 더욱 가까워진 트렌드를 보이고 있습니다. 성숙기를 넘어 일상화가 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트렌드는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까요? 검색 데이터로 확인한 내용에 의하면 아래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분석해볼 수 있었습니다.

  1. 라이프스타일 맞춤
    • 연령별, 생애주기에 따른 소비자들의 관심사와 케어 영역이 세분화되어 다르게 나타남
    • 일상 속에서 특정 건강기능식품을 떠올리는 순간 (예를 들면 수면, 면역력, 집중력이 필요한 상황 등) 과 연결된 기능성 제품이 계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음
  2. 성분·조합 트렌드
    • ‘프로바이오틱스+비타민’, ‘오메가3+코엔자임Q10’ 등 최적의 ‘조합’ 에 대한 검색이 다양하게 발생

검색 데이터는 이와 같이 소비자가 어떤 성분을 인지하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 떠올리며, 어떤 성분과 ‘함께 찾는지’ 등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에 대한 분석은 물론, 마케팅 뿐 아니라 제품 개발 측면에서도 중요한 소스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2025 건강기능식품 트렌드 리포트

2025 상반기를 뜨겁게 달군 트렌드 키워드

출처: 리스닝마인드 인텐트 데이터 리포트

2025년 상반기에는 어떤 시장과 아이템이 떠올랐을까요?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의 검색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롭게 부상한 키워드와 눈에 띄는 검색량 변화, 그에 연결된 소비자 니즈와 관심사를 상반기 트렌드 리포트에 담았습니다.

  • 소비자의 발길이 향한 곳: 야구, 팝업(Pop-up)
  • 생성형 AI, 계속되는 소비자의 욕망: 생성형 AI, NMN, 다이어트
  • 급상승 키워드: 라부부, 말차, 선양소주

트렌드는 소비자들의 변화하는 관심, 문화, 니즈를 반영하며 더 나아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초석이 되기도 합니다. 때문에 현재 소비자들의 특성과 변화하는 흐름을 포착한 브랜드는 미래 수요를 예측하고, 새로운 마케팅 접점을 만들 수 있습니다.

👉 2025 상반기 트렌드 리포트

마치며

앞에서 소개한 검색 데이터 기반의 트렌드 리포트는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측면으로도 확장해서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메가 트렌드 뿐 아니라 패스트 트렌드까지 일본, 미국 시장에서도 반응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트렌드와 인텐트(intent)가 궁금한 분들은 ‘리스닝마인드’를 통해 직접 데이터 분석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