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최근 일본 뷰티 시장에서 ‘세럼’은 가장 주목받는 카테고리 중 하나로, 브랜드 경쟁과 소비자 검색 행동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검색 데이터를 통해 드러난 인기 브랜드, 성분 트렌드, 피부 고민 키워드를 다각도로 분석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일본 세럼 시장 현황

일본의 미용액(세럼, 에센스, 앰플) 시장은 연간 검색량이 4,700만 건을 넘어설 정도로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럼 카테고리에서는 한국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으며, 아누아와 토리든은 2023년 이후 꾸준히 검색량을 늘려왔습니다. 그중 아누아는 2025년에 들어서면서 세럼 관련 키워드에서 브랜드 검색량 1위를 기록하며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토리든 역시 안정적인 인기를 유지하고 있으나, 2024년 말부터 아누아와의 격차가 점차 벌어지면서 브랜드별 팬층과 구매 동기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 브랜드의 경우, 메라노CC와 하다비세이와 같은 스테디셀러 제품이 여전히 검색 상위권에 오르고 있으나, 검색량에 큰 변화는 없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2025년 6월 이후 검색량이 급격히 증가한 브랜드는 신흥 브랜드인 ‘카탄(KATAN)’입니다.
「카탄 에센스」 화제가 브랜드 전체 검색 확대로 기여

KATAN이라는 브랜드는 6월 이전에도 클렌징 밤 등을 통해 일부 검색이 이루어졌으나, 검색량이 많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세럼이 화제가 되면서 SNS와 입소문을 중심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이를 계기로 KATAN 브랜드 전반에 대한 관심도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주목할 점은 동일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검색 키워드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각각이 다른 소비자 인지도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입니다.
- 「KATAN 세럼」 : 브랜드명 + 카테고리를 통한 초기 인지 단계의 검색
- 「KATAN 니들샷」 : 브랜드와 함께 기능적 특성(니들샷)에 대한 관심
- 「KATAN 더마히트 세럼」 : 구체적인 제품명을 인지 후 이루어지는 직접적 검색
이처럼 검색어에서 소비자의 관심 단계와 목적의 차이를 읽어낼 수 있습니다.
검색 토픽 TOP5에서 본 주목 브랜드·성분·피부 고민 트렌드
최근 3개월간 많이 검색된 토픽 TOP5를 통해 살펴본 일본 세럼 시장의 주요 브랜드, 성분, 그리고 피부 고민은 다음과 같습니다.
브랜드 | 성분 | 피부 고민 |
아누아/anua (158,524) | 비타민(c) (112,883) | 모공 (144,145) |
코스메 데코르테 (118,719) | 레티놀 (54,897) | 기미 (83,018) |
katan (87,107) | 시카/CICA (47,987) | 여드름 (33,029) |
토리든/ torriden (64,550) | PDRN (21,599) | 여드름 흉터 (32,154) |
메디큐브 (59,246) | 아젤라산 (21.235) | 주름 (20,940) |
한국 브랜드의 견고한 입지와 일본 브랜드의 성장세
최근 3개월간 가장 많이 검색된 브랜드는 아누아, 토리든, 메디큐브 등 한국 브랜드로,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본을 대표하는 세럼 브랜드인 코스메데코르테는 2025년 5월 출시된 모공 세럼이 화제를 모으면서 검색량이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성분 트렌드: 비타민C의 압도적 인기, CICA와 레티놀의 성장
성분별 검색 현황을 살펴보면, 비타민C가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다른 성분보다 2배 이상 검색이 되어있습니다. 이는 모공 개선과 피부 톤(칙칙함) 완화의 대표 성분으로 인지 되어, 높은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어서 레티놀도 안정적인 인기를 이어가고 있으며, 시카, PDRN, 아젤라산 등 신흥 성분들도 꾸준히 검색량을 늘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을 통해 소비자가 “성분을 기준으로 스킨케어를 선택하는 경향”을 점차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부 고민: ‘모공’이 압도적 1위
피부 고민 관련 검색에서는 ‘모공’(144,145건)이 압도적으로 많아, 2위 이하인 ‘기미(잡티)’, ‘여드름’, ‘여드름 자국’, ‘주름’과 뚜렷한 격차를 보였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공’ 케어와 관련된 성분들(비타민C·레티놀·CICA 등)도 함께 검색 상위권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단순히 피부 고민을 인식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해결에 효과적인 성분까지 인지한 상태에서 검색 행동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공 세럼: 고민 특화와 검색의 다각화

모공에 특화된 세럼에 대한 검색은 최근 1~2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주목을 받은 제품은 2025년 5월 출시된 코스메데코르테 「AQ 모공 에센스 오일」입니다. 출시와 동시에 「코스메데코르테 모공 에센스」라는 키워드 검색량이 급증하며, 모공 세럼 관련 키워드 전반의 검색량도 증가했습니다.
또한 「모공 확장 세럼」, 「처진 모공 세럼」 등과 같이 구체적인 모공 고민 관련 키워드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가 자신의 모공 상태와 고민에 적합한 제품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모공 세럼에 이르기 전 고려되는 선택지

검색 경로를 분석해 보면, 모공 세럼을 찾기 전에 「블랙헤드 미용의료」, 「모공 미용의료」, 「하이푸 코 모공」 등 미용의료나 피부과 치료와 관련된 키워드가 다수 검색되고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전문가에 의한 근본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소비자층이 일정 부분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바늘 세럼」, 「니들 세럼」과 같은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이나 「라보라보 모공 필 세럼」과 같은 필링 계열 아이템도 함께 검색되고 있어, 모공 막힘·확장·블랙헤드 등 다양한 고민에 대해 다각적인 해결책을 탐색하는 소비자가 많음을 보여줍니다.
저가 세럼에서도 드러나는 고도화된 검색 행동
모공 세럼이라고 하면 많은 소비자들이 코스메데코르테와 같은 프리미엄 브랜드를 먼저 떠올리지만,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의 머릿속에는 어떤 브랜드가 연상될까요?
「모공 세럼 저렴이」의 전후 2단계에 검색되는 키워드를 분석하여, 사용자 니즈와 트렌드를 도출했습니다.

브랜드: 메디큐브, 키엘 등 ‘가성비 중시’가 핵심
브랜드 측면에서는 메디큐브와 키엘이 주로 연상되고 있습니다. 두 브랜드의 세럼 가격대는 3,000~6,000엔 수준으로, 엄밀히 말해 “プチプラ(저렴이)”라고 하기는 다소 애매합니다. 그러나 “고기능 × 합리적 가격”이라는 가성비 측면에서 검색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연령대별 니즈: 10대~40대까지 뚜렷하게 갈리는 관심 축
40대는 ‘안티에이징 케어’에 대한 관심이 강한 반면, 10~20대는 ‘모공 케어 입문층’으로서의 검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피부 타입·모공 상태별 니즈
민감성, 지성, 건성, 혼합성 등 피부 타입별 고민과, 넓은 모공, 처진 모공, 멜라닌 모공 등 모공 상태별 고민이 함께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소비자는 단순히 가격이나 인기만으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피부 타입과 모공 특성에 적합한 제품을 적극적으로 찾으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복합적 고민을 가진 사용자 증가
「여드름 자국+모공 케어」, 「미백(기미)+모공」, 「각질 케어」와 같은 키워드에서 알 수 있듯, 소비자는 모공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피부 고민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 심리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결국 가성비 시장에서도 소비자는 단순히 가격만을 기준으로 하지 않으며, 제품의 기능성, 피부와의 적합성, 고민 해결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택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부 타입, 연령대, 모공 유형별로 ‘최적의 제품’을 찾는 검색 행동은 점점 더 고도화되고 합리적입니다.
이러한 검색 트렌드는 세럼 시장에서 브랜드 전략과 콘텐츠 전략 역시 더욱 정교한 사용자 이해와 세분화된 접근을 요구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마치며
이번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것처럼, 일본 세럼 시장은 단순히 가격이나 인기 브랜드에 의존하지 않고, 소비자의 피부 고민과 성분 이해를 기반으로 한 고도화된 선택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브랜드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고민과 상황에 최적화된 마케팅 메시지와 콘텐츠 설계가 필수적임을 보여줍니다.
검색 데이터를 활용하면 일본 소비자의 고민과 니즈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으며, 이를 브랜드 전략, 콘텐츠 기획, 제품 개발 전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더 다양한 스킨케어 관련 인사이트가 필요하시다면, 데모를 신청하시거나 무료 트라이얼을 통해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썸네일 이미지 출처 – 언스플래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