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데이터로 분석한 2025 상반기 트렌드 리포트
검색 데이터는 소비자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관심과 행동의 출발점입니다. 무언가를 알게 되었을 때, 더 알고 싶을 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사람들은 검색을 시작합니다. 이때 입력되는 단어들은 소비자의 관심사, 문제의식, 브랜드 또는 제품과의 최초 접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이기도 합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2025년 1월부터 6월 까지의 검색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롭게 부상한 키워드와 눈에 띄는 검색량 변화, 그에 연결된 소비자 니즈와 관심사의 흐름을 정리했습니다. 소비 문화 전반에서 특정 산업, 그리고 개별 아이템에 이르기까지 2025년 상반기, 검색 데이터 속에 포착된 ‘트렌드의 방향’을 함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PART 1. 2025년 상반기, 소비자의 발길이 향한 곳은?
전국민이 주목한 스포츠, ‘야구’
KBO에 따르면, 2025 KBO 리그의 시즌 350경기(전체 일정의 약 48.6%) 기준 누적 관중 수가 6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평균 관중이 약 17% 증가한 수치로, 특히 20대 유입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관람 열기가 고조되며 굿즈, 협업 콘텐츠, 시즌 한정 제품 등 다양한 연계 소비 현상도 확산되었습니다.
‘야구+굿즈’ 키워드에서 읽는 팬심

‘야구’ 단일 키워드뿐 아니라, ‘야구 연관 키워드 + 굿즈’ 조합도 2025년 상반기(3~6월)에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구단명 또는 프로그램명 + 굿즈’ 형태는 팬심과 소비가 맞닿아 있는 지표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월평균 검색량 기준, 가장 인기 있었던 조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화이글스 굿즈 (6,143)
- 기아타이거즈 굿즈 (5,053)
- 롯데자이언츠 굿즈 (3,990)
- 불꽃야구 굿즈 (3,070)
- LG트윈스 굿즈 (2,400)
팬심은 오프라인 응원에만 머물지 않고, 디지털 행동으로도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관람 문화 속 새롭게 떠오른 ‘야구 직관 가방’
2025년 상반기 야구장에서 눈에 띈 또 하나의 소비 아이템은 바로 ‘가방’입니다. 해당 키워드를 포함한 연관 검색량은 월평균 15,186회를 기록했으며, 그중 ‘야구 직관 가방’ 은 4월 한 달간 월 5,390회로 가장 높은 검색량을 보였습니다.

해시태그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직접 관람(직관)을 즐기는 팬들이 자신의 팬심과 취향을 드러내는 용도로 가방을 활용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10대·20대를 중심으로 응원과 패션이 결합된 새로운 관람 문화가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PART 2. 일상으로 스며든 생성형 AI, 그리고 소비자의 ‘욕망’
2025년 상반기, ‘지브리풍 AI 그림’ 유행을 기점으로 생성형 AI는 전 연령대 일상 깊숙이 자리 잡았습니다. 검색 데이터 또한 이를 반영하며, 생성형 AI를 실생활에 적용하려는 구체적인 패턴이 포착되었습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새롭게 주목받은 성분은 바로 ‘NMN’. 이 이슈 속에는 소비자의 건강 욕구, 노화 방지, 활력에 대한 기대가 고스란히 담겨 있었습니다. 그리고 다이어트 시장에서는 연령대별로 관심 키워드가 뚜렷하게 갈리는 흐름도 관찰되었습니다.
생성형 AI, 무엇을 검색했을까?

생성형 AI 관련 연관 검색 데이터를 토픽 단위로 수집한 결과, 소비자 검색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주제로 나타났습니다:
- 서비스/브랜드: 챗GPT (월평균 검색량 21,512,524)
- 이용 목적: 사주 (171,491)
- 법적 이슈: 검사기 (49,336)
- 후기/반응: 추천 (17,558)
기술 자체에 대한 탐색은 물론, 활용 목적, 법적 문제, 사용자 반응 등 폭넓은 맥락에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생성형 AI + 상담’ 키워드로 읽는 정서적 니즈

‘생성형 AI’와 함께 ‘상담’ 키워드가 포함된 조합은 보다 개인화된 수요를 반영합니다.
2025년 3월 이후 관련 키워드의 검색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주요 연관 키워드로는 ‘연애’, ‘심리’, ‘고민’ 등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AI를 정서적 지지나 의사소통의 도구로 활용하려는 흐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다 적합한 응답을 이끌어내기 위한 ‘프롬프트’ 관련 키워드 검색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PART 3. 소비자 취향이 반영된 핫 키워드, 검색량으로 살펴보기
글로벌 인기 캐릭터 ‘라부부’, 각국의 검색 반응은?

홍콩-벨기에 출신 디자이너 카싱룽(Kasing Lung) 이 만든 캐릭터 ‘라부부’는 유명 연예인들의 인증을 계기로 글로벌 트렌드로 확산되었습니다.
한국, 일본, 미국의 검색량 추이를 비교해 본 결과, 2025년 5월을 기점으로 급격한 증가 흐름이 관찰되었습니다. 각국 소비자의 관심 키워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 한국: 패션 아이템(키링, 의류), 테마 시리즈(마카롱, 코카콜라), 연예인(리사)
- 일본: 정가/가품 여부에 대한 민감도, 봉제 인형·키링
- 미국: 특정 테마 시리즈, 구매처 정보(search near)
검색 데이터는 브랜드 인지도와 팬덤 문화를 모두 반영하는 유의미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5 상반기 트렌드 리포트, 전체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처럼 검색 데이터는 소비자의 인지와 관심이 반영된 신호로, 변화의 흐름과 행동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입니다. 이번 리포트를 통해 단순한 검색량 이상의 인텐트 기반 소비자 인사이트를 함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리포트 다운로드 받기] 버튼을 통해 확인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