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youtube

25년 7월 21일 기준으로 유튜브에서 “인기 급상승 동영상”이라는 서비스가 폐지 되었습니다. 유튜브에 많은 서비스 섹션 중에 하나가 폐지되었다는 소식이지만 시장과 소비자가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질만한 뉴스라고 생각합니다.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없앤다

이미 잘 아시는 분도 있겠지만 “인기 급상승 동영상”이라는 서비스는 어떤 것인지부터 살펴보면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인기 급상승 동영상”이란?

YouTube의 인기 급상승 동영상

인기 급상승 동영상의 동영상 순위를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특정 기간에 YouTube에 업로드된 여러 신규 동영상 중에 인기 급상승 동영상은 극히 일부의 신규 동영상만 표시합니다. 인기 급상승 동영상은 다음과 같은 동영상을 노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다양한 시청자의 관심을 끄는 동영상
  • 현혹적이거나 클릭을 유도하거나 선정적이지 않은 동영상
  • YouTube와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다루는 동영상
  • 크리에이터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동영상
  • 흥미와 새로움을 느낄 만한 동영상

인기 급상승 동영상에서는 이 조건을 모두 고려하고자 노력합니다. 이를 위해 인기 급상승 동영상은 다음을 포함하여 다양한 신호를 고려합니다.

  • 조회수
  • 동영상 조회수 증가 속도(즉, ‘온도’)
  • YouTube 외부를 포함하여 조회수가 발생하는 소스
  • 동영상 업로드 기간
  • 해당 동영상을 같은 채널에 최근 업로드한 다른 동영상과 비교한 결과

요약해서 이야기하면 신규 업로드된 동영상 중에서 동영상의 조회수가 많고 증가속도가 높은 동영상을 소개해 주는 서비스 입니다.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이슈성 컨텐츠를 발굴할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슈를 볼수 있기 때문에 매력도가 높은 서비스 입니다. 한국에서도 네이버가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라는 서비스가 있었는데 매우 높은 Performance가 높고 네이버의 대표 서비스 였음에도 Abusing 이슈와 정치적인 이슈 등의 문제로 사회적인 비난을 받으면서 서비스가 중단된 사례가 있습니다. 

“인기 급상승 동영상” 서비스 중단

구글의 “인기 급상승 동영상”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어서 없어졌다기 보다는 사업적인 이슈로 인해서 폐지된 것으로 보입니다. 기사화된 구글의 입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기 급상승 페이지 지원 중단 – YouTube 커뮤니티

“오늘날 트렌드는 여러 팬덤에서 만든 수많은 동영상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커뮤니티가 즐기는 작은 규모의 트렌드도 그 어느 때보다 많습니다. 맞춤 동영상, 추천 검색어, Shorts 동영상, 댓글, 커뮤니티 등 YouTube의 다양한 위치에서 트렌드를 접하는 시청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특히 지난 5년 동안 인기 급상승 페이지 방문 수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

결론은 Traffic가 줄고 있어서 중요한 영역에 이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어렵고 다양한 카테고리에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이야기인데요. 사실 현재 특정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컨텐츠는 사업자에게는 매우 소중한 자산입니다. 어렵지 않은 방법으로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고 같은 컨텐츠를 재사용하면서 트래픽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말해서 돈이 되는 서비스입니다. 그런데 이런 서비스를 중단하는 결정은 Traffic이 유의미하게 감소했고 다시 활성화되기 어렵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예상합니다. 

사람들은 많은 경우에 다른 사람들이 재미있게 본 컨텐츠,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컨텐츠에 관심가지게 됩니다. 그런데 왜 인기가 급상승하는 컨텐츠가 Traffic가 감소하고 있을까요? 여기서 부터는 저의 경험과 판단입니다. 

“인기 급상승 동영상”서비스 중단 사유

첫번째로 보이는 현상은 컨텐츠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특히 Shorts가 너무나 증가하고 있습니다. Data의 양이 증가하면 다양성도 증가합니다. 단순히 클릭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컨텐츠를 추천하는데 부담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나 유사한 컨텐츠가 대량으로 만들어지고 Traffic을 집중하게 되면 사업자 입장에서는 고민이 깊어지게 되고 그 영역의 수익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추천되는 인급동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How Many Videos Are on YouTube? Statistics & Facts (2025)

항목현재 수치 (2025 기준)
전체 영상 수약 5.1 billion 영상
1분당 업로드 시간360~500시간
하루 업로드 영상 수약 2.6백만 영상, 72만 시간 분량
전년 대비 영상 증가량약 800백만 영상
Shorts 영상 비중전체의 26% (약 1.1 billion 영상)
Shorts 성장 영향전체 영상 수 증가 및 트렌드 변화 주도

두번째는 유사 컨텐츠의 양산입니다.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컨텐츠를 많이 만드는 현상은 크게 이상하거나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시각과 의견으로 컨텐츠를 만들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문제는 Traffic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컨텐츠를 대량으로 복사하는 경우입니다. 최근에는 미국인이 등장하는 동영상을 한국, 태국, 인도, 일본 등에서 등장인물의 국적만 바꿔서 똑같이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컨텐츠를 만드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자산을 도둑 맞은 것 같은 느낌이지만 사업자 입장에서도 의미 없는 컨텐츠가 대량으로 만들어져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는 해외의 사례이지만 국내에도 다수 있는 현상으로 생각합니다. 이렇게 Copy된 컨텐츠를 Traffic 기준으로 추천까지 하는 상황이 적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Reddit에서 볼 수 있는 유튜브 Copy Case

세번째는 사용자의 능동적이고 파편화된 컨텐츠 소비입니다. 첫번째 주장의 문단에도 언급했지만 Shorts를 중심으로 한 사용자의 업로드와 소비가 증가하는 부분은 명확합니다. 과거에 Snack Contents라는 구분으로 짜투리 시간에 잠깐 보고 다시 찾지 않는 재미 위주의 컨텐츠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시간을 보내는 방법으로 보편화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자신의 다양한 관심과 질문 그리고 주제를 소비하고 싶어합니다. Traffic이 높은 Shorts 중심으로 추천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Skip 해야할 추천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는 사용자는 자기의 관심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도구가 너무나 많아졌습니다. 검색, GPT 등의 도구가 나의 요구 사항을 아주 쉽게 찾아 줍니다. 어정쩡하게 많은 사람들이 “전반적으로 좋아하는 컨텐츠 입니다” 같은 내용은 관심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기 급상승 동영상” 서비스 중단의 의미

유튜브에서 “인기 급상승 동영상” 서비스를 중단한 이유에 대해서 제 생각을 정리해 봤습니다. 그런데 이런 유튜브의 결정이 우리들에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Mega Trend 또는 Mega Brand의 의미가 예전에 비해 약해 졌다는 점을 인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여전히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어떤 관심을 가지는지 최근 Trend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궁금해 하고 관심이 많습니다. 하지만 특정 영역, 특정 부부에 대한 관심이지 전반적인 시장에 대한 것은 아닙니다. 이미 사람들은 자기의 선호가 있습니다. 구글은 이것과 관련해서 Smaller Trend라는 표현과 개인화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화된 정보, 개인화된 정보가 필요합니다. 

최근에 “조선 미인” 이라는 브랜드의 선블록이 미국에서 인기를 끌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Listening Mind에서도 그런 현상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었고 관련해서 글도 쓴 적이 있습니다. 

조선미인 Sunscreen이 미국에서 잘 팔리는 이유??? – Listening Mind Blog

 K-Pop과 K-뷰티의 영향으로 미국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고 합니다. 한방으로 화장품을 만들었다는 내용도 고객에게 매력적인 부분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궁금합니다.  왜 LG생활건강의 “더후”나 아모레 퍼시픽의 “설화수”에도 한방 선크림이 있습니다. 그런데 왜? … 제가 화장품 전문가는 아니기에 100% 확신을 가질 수는 없지만 “조선미인”은 고객의 의도에 맞추어진 브랜딩, 마케팅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브랜드 파워가 좋으면 브랜드를 믿고 물건을 구매하는 시장이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객의 의도에 맞는 제품을 고객의 의도에 맞추어서 판매해야 하는 시대라고 생각합니다.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브랜드를 만들고 매스 미디어에 광고를 통해서 인지도를 알리는 일들은 이제 효과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은 너무나 많아졌고 획득 비용도 매우 낮아졌습니다.  상품의 정보와 사용자의 리뷰를 잘 정리하고 고객의 우선순위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리스닝 마인드를 서비스를 만들면서 인텐트가 중요하고 그 인텐트를 잘 보일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사람들은 어떤 키워드를 왜 찾을까? 그리고 그 키워드는 어떤 필요와 욕망을 표현하는 것일까? 개인 관심사가 파편화되어 모두가 다른 필요를 가진 세상이고  컨텐츠를 만드는 것이 너무나 쉬워진 AI 세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방법은 고객의 Intent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Intent에 맞추어서 상품을 기획하고 브랜드를 만들고 마케팅을 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유튜브의 “인기 급상승 동영상” 서비스의 중단은 마이크로 트렌드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진 결과라고 이야기 할 수 있고 서비스와 상품을 만들고 팔아야 하는 우리는 마이크로 인텐트를 통해서 고객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