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데이터로 발견하는 소비자 언어와 CEP
소비자 언어와 카테고리 엔트리 포인트(CEP: Category Entry Point)는 마케팅 전략은 물론, 소비자 분석의 핵심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비자 언어를 분석하면, 그 언어가 등장하는 맥락이나 상황(CEP)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 언어’와 ‘CEP’는 실제 소비자의 검색 행동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검색 데이터를 통해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검색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 언어와 CEP를 분석하는 프롬프트 작성법을 소개합니다.
▶ 참고 포스팅) 코카콜라가 사랑받는 이유? 소비자 일상에 침투한 CEP 전략
1. 검색 데이터로 찾는 소비자 언어와 CEP란?
그렇다면 검색 데이터의 관점에서 ‘소비자 언어’와 ‘CEP’는 무엇을 의미하며, 둘은 어떤 관계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
🗣 소비자 언어의 의미
: 소비자가 스스로 문제를 표현하거나, 제품을 찾기 위해 직접 사용하는 검색어/문장/표현 방식을 의미합니다.
예시)
❌ 브랜드 언어: ‘저자극 진정 케어 앰플’, ‘구취제거 치약’
✅ 소비자 언어: ‘피부 따가울 때 바르는 앰플’, ‘화장 안 받는 날 앰플’, ‘입냄새 제거 치약’
🚪 CEP (Category Entry Point)의 의미
: 소비자가 특정 제품군이나 브랜드를 떠올리는 (진입하게 되는) 검색 문맥을 의미합니다.
예시)
‘눈이 자주 건조함 → 안약 → 인공눈물 vs 눈 마사지기’
‘출산 후 머리 빠짐 → 샴푸 추천 → 여성 전용 두피 케어’
위의 사례와 같이 검색 데이터서 발견한 소비자 언어는 소비자가 무의식적으로 표현하는 고민/욕구/상황을 반영한 언어를 그대로 담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CEP도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볼 수 있습니다.
2. 소비자 언어 발굴을 위한 프롬프트 예시
소비자 언어를 발굴하는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공급자’가 아닌 ‘소비자’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그러한 관점을 유의한 상태에서 아래 목적을 염두에 두고, 프롬프트 예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목적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 및 제품을 떠올리기 전 구체적인 니즈나 문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브랜드가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 언어를 찾기
프롬프트 예시 ①
⌨️ [속눈썹 영양제]와 관련된 소비자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검색어를 발굴해줘. 브랜드가 의도하고 만든 표현이 아니라, 소비자 본인이 겪는 문제나 원하는 효과를 직접적으로 표현한 키워드를 우선 정리해줘.”
아웃풋 예시 ①
🔁 이후 분석 확장 방향 예시
> 소비자들이 ‘속눈썹 영양제’를 필요로 하는 상황을 검색 경로, 연관 키워드, 전/후 검색 키워드 등을 통해 분석해줘.
프롬프트 예시 ②
⌨️ [진정 앰플]을 검색한 사용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유사 표현이나 비공식적인 단어들을 정리해줘.
예: ‘피부 따가울때’, ‘열 받은 피부’, ‘피부 갑자기 뒤집어짐’ 등”
아웃풋 예시 ②
🔁 이후 분석 확장 방향 예시
> ‘얼굴 빨개짐’, ‘얼굴 온도 낮추기’, ‘얼굴 뜨거울 때’ 등과 관련한 소비자 언어를 확장 분석해줘.
프롬프트 예시 ③
⌨️ [눈 마사지기] 관련 검색자들이 문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검색 경로, 전/후 검색어, 연관 검색어 등을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원인/증상/감정 어휘 중심으로 정리해줘.”
아웃풋 예시 ③
🔁 이후 분석 확장 방향 예시
> ‘증상 어휘’로 정리된 고객언어 (눈 피로 원인, 눈이 뻑뻑할 때, 눈 무거울 때)와 연결된 제품 카테고리 현황을 분석해줘.
3. CEP(Category Entry Point) 발굴을 위한 프롬프트 예시
CEP(Category Entry Points)는 소비자가 특정 제품군/브랜드를 떠올리는 순간이나 계기, 사용 맥락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맥락은 타겟 카테고리와 연관된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 목적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제품군에 관심을 갖기 이전에 연결된 상황/문맥을 데이터 기반으로 찾아 신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
프롬프트 예시 ①
⌨️ [방향제 추천]을 검색한 소비자들이 검색 이전에 어떤 니즈나 문맥에서 시작했는지 파악하고, 발견된 CEP를 유형별로 정리해줘.
아웃풋 예시 ①
🔁 이후 분석 확장 방향 예시
> CEP 유형별로 검색량과 광고 경쟁도를 비교하고, 타겟 세그먼트를 선별해줘.
프롬프트 예시 ②
⌨️ [저당 소스]를 검색한 소비자가 어떤 흐름(검색 경로 및 전/후 검색어)으로 특정 브랜드를 검색(인지)하는지 분석하고, 그와 연관된 다양한 상황(CEP)를 정리해줘.”
아웃풋 예시 ②
🔁 이후 분석 확장 방향 예시
> 발견된 CEP 유형별 메인 키워드들의 검색량과 주요 타겟층을 함께 비교, 분석해줘. (우선순위 참고 목적)
프롬프트 예시 ③
⌨️ [리프팅 시술] 과 함께 자주 검색되는 고민(문제) 키워드, 비교 시술 등을 기반으로 CEP 맥락을 정리해줘.”
아웃풋 예시 ③
🔁 이후 분석 확장 방향 예시
> 발견된 리프트 시술 주요 CEP 그룹에서 ‘처짐, 노화 자각형’ 소비자(타겟) 세그먼트를 디테일하게 분석해줘.
4. 지금, 실전 CEP 분석을 직접 경험해보세요
앞서 살펴본 사례처럼, 검색 데이터에는 소비자들의 실제 표현이 그대로 담겨 있어 공급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관점의 언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비자 언어와, 그에 연결된 카테고리나 브랜드의 진입 지점(CEP)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마케팅 전략은 물론 콘텐츠 기획, 제품 기획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해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브랜드나 공급자의 시각을 넘어, 소비자가 실제로 찾고 있는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된 CEP 접점을 발굴하고 확장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