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unblock

최근 몇 년간 한국 화장품이 미국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기사가 많이 있었습니다. 10여 년 전에 중국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이 성공을 거둔 적이 있었는데 여러 가지 이슈로 중국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시점 점유율은 떨어졌고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K컬처 앞세운 K뷰티, 佛 제치고 美 화장품 수입 1위|동아일보

미국의 Sun Screen 시장

화장품도 시장이 워낙 크고 상품도 다양하여서 어떤 주제가 좋을지 고민하다가 여름이라면 Sunblock과 Sunscreen으로 보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음은 Intent Finder에 Sunblock과 Sunscreen을 조회한 결과입니다.

전체적인 형상은 6월에 최고 검색량을 찍고 12월에는 최저 검색량을 찍는 계절성을 명확히 보입니다. 21년도에 검색량이 매우 높았으나 그 해를 제외하고는 상승과 하락이 구간 안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키워드 수는 전체 43,351개이고 월평균 검색량은 5,544,521로 적지 않은 수준입니다. 그런데 검색량 3위에 “Beauty of Joseon sunscreen”이 있습니다.

저는 이 조사를 하기 전에는 조선 미인이라는 브랜드를 몰랐는데 생각보다 대단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조선 미인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Goodai Global은 24년에 1조의 매출을 달성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급격한 성장을 이룬 회사입니다.

“30대 남자는 화알못?” 천주혁 구다이글로벌VS김병훈 에이피알 대표의 경영 대결

기사를 보니 저만 모르고 모두가 다 아는 회사였을 수도 있겠습니다. 최근에는 스킨푸드도 매수하려고 한다고 합니다. 

구다이 글로벌이 조선 미인을 인수한 것이 2019년이었는데 2021년에 검색량 월 10개이던 것이 현재는 97,000까지 증가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Beauty of Joseon sunscreen을 조사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미국도 모르고 Sunscreen도 모르니 Cluster Finder를 통해서 Beauty of Joseon sunscreen과 관련 있는 키워드들을 확인해 봤습니다. 

저는 중요한 키워드 중심으로 키워드를 확인했지만 글로 표현하기는 어려워서 카드 형태로 결과를 바꾸고 다시 보겠습니다. 

Intent Finder의 조회 결과에도 Cluster Finder의 조회 결과에도 EltaMD라는 브랜드가 자주 등장하고 검색량도 비교할 만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화장품과 관련된 제가 화장품과 관련된 지식은 없어서 Listening Mind와 검색으로 조사한 내용으로 문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심층적인 조사를 해야 한다면 출현하는 모든 키워드와 키워드 간의 연결(관계)을 자세히 보겠지만 대략의 상황으로 시장 상황을 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beauty of Joseon sunscreen과 eltamd sunscreen을 조사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beauty of joseon sunscreen Vs eltamd sunscreen

beauty of joseon sunscreen 

eltamd sunscreen

LLM이 분석해 준 결과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

Korean skincare/K-beauty → Beauty of Joseon 브랜드 인지

2단계: 브랜드 탐색  

Beauty of Joseon → 제품 라인업 탐색 → 리뷰 확인

3단계: 제품 선택

Sunscreen vs Tinted vs Stick → 성분 확인 → 가격 비교

4단계: 구매 결정

Amazon/Sephora 가격 비교 → 할인 코드 검색 → 구매

5단계: 사후 관리

사용법 검색 → 커뮤니티 후기 작성 → 재구매

EltaMD 구매 여정

1단계: 문제 인식

피부 문제/전문가 추천 필요 → 피부과 추천 제품 검색

2단계: 전문성 검증

Dermatologist recommended → EltaMD 브랜드 발견

3단계: 제품 연구

UV Clear vs UV Daily → 성분 분석 → 피부 타입 적합성 확인

4단계: 가치 검증  

Is EltaMD worth it? → 리뷰 확인 → 가격 정당성 검토

5단계: 구매 실행

전문점/병원 구매 → 온라인 보조 구매 → 지속 사용

💡 핵심 차이점 및 특징

검색 경로의 근본적 차이

측면Beauty of JoseonEltaMD
진입점트렌드/뷰티 관심피부 문제/전문가 추천
의사결정 기준가성비 + 트렌드효과 + 전문성
구매 채널온라인 중심오프라인 전문점 중심
커뮤니티소셜미디어/리뷰전문 포럼/의료진
재구매 패턴신제품 시도동일 제품 반복

비교 분석 요약

두 브랜드의 검색 경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완전히 다른 마케팅 생태계에서 성공하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 핵심 차이점

Beauty of Joseon

  • 트렌드 기반 진입: K-뷰티 → 브랜드 발견
  • 가성비 중심: CPC $0.77로 접근성 높음
  • 소셜 중심: YouTube, Reddit 커뮤니티 활성화
  • 다양성 추구: 여러 제품 라인 동시 관심

EltaMD

  • 전문성 기반 진입: 피부과 추천 → 브랜드 신뢰
  • 품질 중심: CPC $2.56으로 프리미엄 포지셔닝
  • 전문가 중심: 의료진 추천, 전문 포럼 활용
  • 집중 전략: UV Clear 라인 집중

📊 검색 패턴의 차이

  1. 브랜드 vs 제품 검색 비율
    • BOJ: 브랜드 검색이 1.4배 높음 (브랜드 파워)
    • EltaMD: 브랜드와 제품 검색이 비슷 (제품 중심)
  2. 구매 의사결정 속도
    • BOJ: 빠른 결정 (트렌드, 감성적)
    • EltaMD: 신중한 검증 (“worth it” 검색 多)
  3. 채널 선호도
    • BOJ: 온라인 우선 (Amazon, Sephora)
    • EltaMD: 오프라인 전문점 선호 (“near me” 검색)

🎯 전략적 시사점

두 브랜드는 상호 보완적 학습 기회가 있습니다:

  • BOJ → EltaMD 학습: 전문성, 성분 투명성, 의료진 협업
  • EltaMD → BOJ 학습: 소셜 마케팅, 접근성, 젊은 층 소통

이는 각각 다른 고객층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화된 검색 경로를 구축한 성공 사례로 평가됩니다

========================================================================

Beauty of Joseon은 K-화장품의 인기 트렌드와 젊은 층이 선호하는 SNS 등의 미디어가 효과를 만들었고 eltamd sunscreen은 의사 등의 전문가가 인증해 주는 효과가 30/40대의 반응을 이끌면서 제품의 흥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LLM이 제안한 것처럼 약점을 보완하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강점을 더 강화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됩니다.